mobile background
mobile background

독자투고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그런데 정말 쉬운 방법은 왜 안 하는지 궁금합니다./ 독자 투고


아래 글은 진안군 홈페이지 소통의 장에 올라온 민원인의 절절한 글과 

하나마나 한 군청 직원의(이 분은 진안에서 사시나 몰라)답변 내용입니다. 

함께 생각해 볼 문제라 여겨 이곳에 그대로 옮겨 놓습니다.


군수님이 얼굴 걸고 하는 소통의 장을
군수님이 꼭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군수비서실에서 이 게시판을 관리한다고 하는데,
이름 걸고 얼굴 걸고 하는 게시판이면
저는 군수님이 컴퓨터를 못 하는 분이 아니라면
꼭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매일 민원글이 올라오는 것도 아닌데....
군민인 저도 매일 한번씩은 들어와서
어떤 민원이 있나 공개된 글은 꼭 읽어보고
공무원들의 답변도 꼭 읽어봅니다.

우선 저는 진안에 거주한지 이제 3년 3개월이 된 사람입니다.
와서 놀란 것 중의 하나가 가장 번화한 진안읍내가
저녁 되면 어둡고 갈 곳이 없고
식사하려고 해도 영업 끝났습니다 소리를 많이 듣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말은 뭐 공동묘지 같습니다.
약국도 일요일에 찾으려면 어렵고 ㅠㅠ

요즘 지역신문에 지방소멸, 인구소멸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는
관련 기사들을 자주 보는데,
그냥 대놓고 말하겠습니다.
제가 틀린 것을 알고 있다면 꼭 수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확실한 팩트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인구소멸, 지방소멸, 군수님과 군의원님들이 온 가족 함께
진안군 내에 실제 거주하면
정말 진안군민들의 어려움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이사 오자마자 먼저 들은 이야기 공무원들 대부분 전주 산다 이야기입니다.
공무원들이 700명이 넘는다고 들었는데(틀렸으면 알려주세요)
상당수가 전주 산다고 하는데(70%도 이야기하고 대부분이라고 하기도 하고),
뭔가 진안에 부족해서 전주 사시겠죠.
그러면 그것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그것을 해결해서
공무원들이 (혼자만 말고) 온 가족이 이사 와서 진안에서
저녁의 삶도 살고, 주말의 삶도 살고 그렇게 실제로 살면
되지 않을까요?
그 정도 되면 귀촌 귀농 인구도 늘지 않을까요?
당장 저라도 제 지인이 진안으로 내려 온다고 하면 최소한 환영은 못 할 겁니다.
군민들이 고치는 것보다 실제적인 군을 돌보는 공무원들이
살아봐야 고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저도 도시 살았던 사람이 진안보다는 전주가 좋겠지요.
그렇지만 이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지도 모를 그런 정책보다
먼저는 군수님, 군의원님들, 공무원들이
여기 살아야 하는 것 아닐까요?

제가 이런 민원을 써도 되는가 고민도 하고
농담이나 괜한 분풀이로 여기실까봐서
많이 고민하다가
점점 지역소멸이나 지방소멸이나
인구소멸이니 하는 기사를 많이 대하다 보니
지난 3년 동안 혼자 생각했던 이야기를 올려봅니다.

아마 수많은 사람들이 말했을 내용의 이야기이지만
그래도 한번 올려봅니다.
글을 마치면서도 이런 글을 쓰는 것이
맞나 싶은 생각은 들지만
안 올리면 또 제 마음이 힘들어지고
진안군에 대한 원망만 쌓일 것 같아서
부디 정확하고 기대가 되는 좋은 답변을
기대하면서 올려봅니다. 



[답변]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수고가 많으십니다. 그런데 정말 쉬운 방법은 왜 안 하는지 궁금합니다.

  • 담당부서 : 농촌경제국 농촌활력과 귀농귀촌
  •  
  • 전화번호 : 063-430-8072
  •  
  • 등록일자 : 2022-06-29 13:49:35



안녕하십니까?

군정에 관심을 갖고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셔서 감사드리며, 진안군 홈페이지 소통의 장에 남겨주신 의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우선 군 발전을 위한 관심과 좋은 의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정주 여건의 개선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주요 과제이며, 군에서는 진안군이 살기 좋은 지역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건의하신 내용인 진안군 직원들의 관내 거주의 경우, 군에서는 각종 회의 및 직원 대상 청원 조회 시 군수가 직접 진안 살기를 강하게 독려하는 등 기관 차원에서 진안군 공무원 진안 살기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사생활 보호와 거주 이전의 자유 등 직원들의 전입을 강제할 수는 없는 상황임을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향후, 자녀 교육과 정주 여건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여 관외 직원들이 관내에서 거주할 수 있는 생활 여건을 마련하는 등 여러 대책들을 다각도로 강구하도록 하겠습니다.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답변드린 내용에 대하여 설명이 부족하거나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농촌활력과 귀농귀촌팀(☎063-430-8072)으로 전화 주시면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무원 퇴근 시간 전주로 퇴근하는 차량들의 모습이다. 열에 아홉은 아마 공무원 일 듯